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상 편집 기법 - 컷

by 영화/드라마 공부하기 2025. 3. 10.

영상 편집에서 '컷'은 장면과 장면을 이어 붙이는 가장 기본적인 기법입니다. 하지만 같은 '컷'이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면 영상의 분위기와 의미를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10가지 대표적인 '컷' 기법을 예시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하드 컷(Hard Cut)

가장 기본적인 편집 기법으로, 장면 A에서 장면 B로 아무런 전환 효과 없이 바로 넘어가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문을 여는 장면에서 바로 다른 장소에서 그 사람이 들어오는 장면으로 이어진다면 하드 컷입니다. 현실감과 속도감을 살리는 데 많이 쓰입니다.

 

점프 컷(Jump Cut)

같은 장면에서 시간의 흐름을 건너뛰는 편집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책상에서 글을 쓰는 장면에서 시간의 경과를 보여주기 위해 중간 과정을 생략하고, 몇 초 뒤에 글이 거의 완성된 모습을 바로 보여주는 식입니다. 이 기법은 속도감과 긴장감을 주고, 때로는 의도적으로 어색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매치 컷(Match Cut)

두 장면을 비슷한 동작, 형태, 소리 등을 통해 부드럽게 연결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컵을 들고 입에 가져가는 장면에서 컵을 내리는 순간 다른 사람이 같은 동작을 하는 장면으로 전환되는 경우입니다. 장면 사이의 연결성을 강조하고, 감각적인 연출에 많이 쓰입니다.

 

크로스 컷(Cross Cut)

두 개의 다른 장면을 번갈아 보여주면서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임을 암시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한 장소에서 누군가 전화를 걸고, 다른 장소에서 그 전화를 받는 사람의 모습을 교차로 보여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긴장감과 속도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컷 어웨이(Cutaway)

메인 장면에서 잠시 다른 장면으로 시선을 돌렸다가 다시 메인 장면으로 돌아오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이야기를 하는 중에 그가 언급하는 사물이나 상황을 잠시 보여주는 식입니다. 상황을 보충 설명하거나 강조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인서트 컷(Insert Cut)

메인 장면 속의 디테일한 요소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짧게 삽입되는 컷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편지를 읽는 장면에서 편지의 내용을 클로즈업으로 보여주는 것이 인서트 컷입니다. 중요한 정보를 강조하거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유용합니다.

 

아이리스 컷(Iris Cut)

화면이 동그랗게 좁혀지거나 넓어지면서 장면이 전환되는 기법입니다. 과거 무성 영화에서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도 코믹하거나 레트로한 분위기를 연출할 때 가끔 쓰입니다.

 

페이드 컷(Fade Cut)

장면이 천천히 어두워지거나(페이드 아웃) 밝아지면서(페이드 인) 전환되는 방식입니다. 시간의 흐름이나 장면 전환 사이의 감정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가 끝나고 밤이 찾아오는 장면에서 화면이 서서히 어두워지는 페이드 아웃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디졸브 컷(Dissolve Cut)

한 장면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동시에 다른 장면이 겹쳐서 나타나는 기법입니다. 몽타주 시퀀스에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거나, 꿈과 현실 같은 두 가지 상태를 연결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Wipe Cut(와이프 컷)

한 장면이 화면을 밀어내듯이 사라지고, 새로운 장면이 등장하는 방식입니다. 화면이 좌우나 상하로 밀려가며 전환되는 형식이 대표적입니다. 주로 경쾌하고 스타일리시한 연출에 활용됩니다.

 

이처럼 '컷'이라는 단순한 편집 기법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면 영상의 흐름, 분위기, 의미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상황과 의도에 맞는 컷을 잘 선택하는 것이 좋은 편집의 중요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