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브플롯(subplot)에 대하여

by 영화/드라마 공부하기 2025. 3. 27.

서브플롯(subplot)이란?

영화나 소설과 같은 이야기에서 메인 플롯(main plot)과 함께 진행되는 보조적인 이야기를 말합니다. 메인 플롯이 이야기의 중심 줄거리를 다룬다면, 서브플롯은 주인공이나 주요 사건과 관련된 부차적인 갈등, 관계, 또는 테마를 탐구하며 전체 내러티브를 풍성하게 만듭니다. 서브플롯은 독립적인 이야기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보통 메인 플롯과 주제적, 감정적, 또는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연결이 잘 이루어지면 관객은 더 풍부한 감정적 경험을 느끼고, 이야기의 메시지가 강화되며, 내러티브가 단순한 사건의 나열을 넘어 입체적인 예술 작품으로 느껴집니다.

 


서브플롯을 만드는 방법


1. 주제와의 연결성 확보: 서브플롯은 메인 플롯의 주제나 메시지를 보완하거나 대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메인 플롯이 "복수"에 관한 것이라면 서브플롯은 "용서"나 "관계 회복"을 다룰 수 있습니다.

 

2. 캐릭터 개발: 주로 주인공이나 조연의 내면적 갈등, 과거, 또는 부차적인 목표를 통해 캐릭터를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이를 위해 캐릭터의 새로운 면모나 관계를 드러내는 사건을 설정합니다.

 

3. 적절한 타이밍: 서브플롯은 메인 플롯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적절한 시점에 삽입되어야 합니다. 보통 메인 플롯의 긴장이 완화되는 순간이나 전환점에서 자연스럽게 소개됩니다.

 

4. 갈등과 해결: 서브플롯에도 자체적인 갈등과 해결 과정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그 규모는 메인 플롯보다 작고, 클라이맥스나 결말에서 메인 플롯과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5. 통합성: 서브플롯은 결국 메인 플롯에 기여하거나 영향을 미쳐야 합니다. 독립적으로 끝나더라도 전체 이야기에 감정적 여운이나 의미를 더해야 합니다.

 

 

영화에서 서브플롯의 역할

캐릭터 심화: 주인공의 동기나 성격을 더 깊이 이해하게 해 줍니다.
주제 확장: 메인 플롯에서 다루기 어려운 부차적인 주제를 탐구합니다.
긴장감 조절: 메인 플롯의 속도를 늦추거나 긴장감을 유지하며 관객의 흥미를 이어갑니다.
감정적 공명: 관객이 이야기와 더 강하게 연결되도록 보조적인 감정선을 제공합니다.
세계관 확장: 영화 속 세계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며 몰입감을 높입니다.

 

영화에서의 예시 1

1. 영화 "인셉션" (Inception, 2010)  

   메인 플롯: 도미닉 코브(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꿈속에서 비밀을 훔치는 임무를 수행하며 현실과 꿈의 경계를 탐구하는 이야기.  
   서브플롯: 코브와 그의 죽은 아내 말(마리옹 코티야르) 간의 감정적 관계와 죄책감. 이 서브플롯은 코브의 내면적 갈등을 드러내고, 그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메인 플롯의 결말을 더 감정적으로 만듭니다.

2. 영화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The Lord of the Rings: The Return of the King, 2003)

   메인 플롯: 프로도와 샘이 반지를 파괴하기 위해 모르도르로 향하는 여정.  
   서브플롯: 아라곤, 레골라스, 김리가 인간과 엘프 연합을 이끌며 사우론의 군대와 싸우는 이야기. 이 서브플롯은 세계의 운명을 건 전쟁이

                   라는 큰 그림을 그리며 메인 플롯에 긴장감과 규모감을 더합니다.

3. 영화 "기생충" (Parasite, 2019)

   메인 플롯: 김 씨 가족이 박 씨 가족을 속이며 그들의 집에 침투하는 계층 갈등 이야기.  
   서브 플롯: 박 씨 집의 전 가정부와 그녀의 남편(지하 벙커에 숨은 인물)의 비밀스러운 삶. 이 서브 플롯은 메인 플롯의 긴장을 극대화하고,

                   계급 간 갈등이라는 주제를 더 깊이 파고듭니다.

 

영화에서의 예시 2

 

1. 주제적 연결: 메시지 강화

메인 플롯과 서브플롯이 동일하거나 대조적인 주제를 공유하면, 영화의 핵심 메시지가 더 강렬하게 전달됩니다.

 

영화 "쇼생크 탈출" (The Shawshank Redemption, 1994)
  메인 플롯: 앤디 듀프레인(팀 로빈스)이 억울하게 감옥에 갇힌 후 탈출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이야기. 주제는 "희망"과 "자유"입니다.  
  서브플롯: 레드(모건 프리먼)와 앤디의 우정, 그리고 레드가 감옥 생활 속에서 희망을 잃었다가 다시 찾는 여정.  
  연결: 서브플롯은 앤디의 희망이 레드에게 전염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희망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것"이라는 주제를 보완합니다.  
  효과: 레드의 변화는 앤디의 탈출을 단순한 물리적 자유 이상으로 만들며, 희망의 보편적 가치를 관객에게 감정적으로 전달합니다.

 

 

2. 감정적 연결: 공감과 몰입 유도

서브플롯이 메인 플롯의 캐릭터나 사건에 감정적 맥락을 제공하면, 관객이 주인공과 더 깊이 공감하게 됩니다.

 

영화 "포레스트 검프" (Forrest Gump, 1994)
  메인 플롯: 포레스트(톰 행크스)가 인생의 굴곡을 겪으며 순수함과 끈기로 살아가는 이야기.  
  서브플롯: 포레스트와 제니(로빈 라이틀리)의 오랜 사랑과 그녀의 방황하는 삶.  
  연결: 제니의 이야기는 포레스트의 헌신과 순수함을 강조하며, 그의 행동에 감정적 동기를 부여합니다. 제니의 죽음은 메인 플롯의 결말에

          애잔함을 더합니다.  
  효과: 관객은 포레스트의 순수함을 제니와의 관계를 통해 더 깊이 느끼며, 그의 인생 여정이 단순한 우연의 연속이 아니라 사랑과 상실의

          이야기로 확장됩니다.

 

 

3. 인과적 연결: 긴장감과 플롯 전개 촉진

서브플롯이 메인 플롯의 사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 이야기가 더 긴밀하게 얽히며 클라이맥스가 강렬해집니다.

 

영화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2008)

  메인 플롯: 배트맨(크리스천 베일)이 조커(히스 레저)와의 대결에서 고담 시를 구하려는 이야기.  
  서브플롯: 하비 덴트(아론 에크하트)가 고담의 "빛의 기사"로 떠오르다 조커에 의해 타락해 투페이스가 되는 과정.  
  연결: 하비의 타락은 조커의 계획의 일부로, 배트맨의 도덕적 딜레마와 메인 플롯의 결말(배트맨이 희생자로 낙인찍힘)에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합니다.  
  효과: 서브플롯은 메인 플롯의 긴장감을 극대화하고, 배트맨의 승리가 단순한 물리적 싸움이 아니라 도덕적 희생임을 보여주며 이야기의

          비극성을 더합니다.

 

4. 대조적 연결: 갈등과 아이러니 강조

메인 플롯과 서브플롯이 대조를 이루면, 갈등이 더 두드러지거나 아이러니가 부각되어 관객에게 생각할 거리를 줍니다.

 

영화 "라라랜드" (La La Land, 2016)
  메인 플롯: 미아(엠마 스톤)와 세바스찬(라이언 고슬링)의 사랑과 각자의 꿈을 향한 여정. 주제는 "사랑 vs. 꿈"입니다.  
  서브플롯: 세바스찬이 재즈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잃고 상업적인 밴드에 합류하는 갈등.  
  연결: 세바스찬의 서브플롯은 미아와의 관계에서 꿈을 좇는 대가로 사랑을 잃는 메인 플롯과 대조를 이룹니다. 그의 타협은 미아의 꿈

         추구와 충돌하며 두 사람의 이별을 예고합니다.  
  효과: 이 대조는 사랑과 꿈 사이의 선택이라는 주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결말의 씁쓸한 여운을 강화합니다.

 


메인 플롯과 서브플롯의 연결은 단순히 이야기를 늘리는 것을 넘어, 주제를 심화시키고, 캐릭터에 입체성을 부여하며, 관객의 감정적 몰입과 지적 자극을 극대화합니다. 위 예시에서 보듯, 잘 짜인 연결은 영화의 클라이맥스와 결말을 더 강렬하고 의미 있게 만들며, 관객에게 오래 남는 인상을 남깁니다. 연결 방식(주제적, 감정적, 인과적, 대조적)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므로, 영화 제작자는 의도한 메시지와 톤에 맞게 설계해야 합니다.